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신청만 하면 연 100만원이 지급되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대상자임에도 몰라서 못 받는 사람이 아직도 많습니다.
    2025년에는 꼭 놓치지 말고 혜택 누리세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란?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청년에게 연 10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청년의 사회참여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대표 복지정책 중 하나입니다.



    2025년 신청 자격은?

     

    ✔ 신청일 기준 만 24세 청년
    ✔ 주민등록상 경기도에 3년 이상 계속 거주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
    ✔ 2001년생 대부분 3~4분기에 해당
    ✔ 성남시·고양시 거주자는 제외



    분기별 신청 일정

     

    분기 생년월일 기준 신청기간 지급일
    1분기 2000.01.02 ~ 2000.12.31 25.03.01 ~ 25.03.31 25.04.20
    2분기 2000.04.02 ~ 2000.12.31 25.05.01 ~ 25.05.30 25.06.20
    3분기 2000.07.02 ~ 2001.07.01 25.07.01 ~ 25.08.11 25.09.10
    4분기 2000.10.02 ~ 2001.10.01 25.10.15 ~ 25.11.24 25.12.20



    신청방법 A to Z

     

    1. 신청사이트 접속
    잡아바 신청 페이지

     

    2. 회원가입 및 로그인

     

    3. 청년기본소득 신청서 작성

     

    4. 필수 서류 제출
    - 주민등록초본 (신청기간 내 발급본, 전체 주소변동 포함)
    -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해당자에 한함)

     

    5. 마이데이터 동의 시 자동 제출 가능

     

    6. 신청 완료 후 심사/선정 결과 확인

     

    7. 선정 시 지급일에 맞춰 지역화폐 지급



    지역화폐 사용처 및 유효기간

     

    ✅ 경기도 내 시·군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학원·시험 응시료는 도내 및 일부 온라인에서도 사용 가능
    ✅ 유효기간 3년 (시흥·군포·과천은 5년)
    ✅ 미사용 시 자동 소멸 주의!



    청년기본소득 자주 묻는 질문

     

    Q1. 2001년생도 신청 가능한가요?

    예, 3~4분기 대상자에 포함됩니다. 생년월일에 따라 분기별로 신청해야 합니다.

     

    Q2. 신청을 놓쳤는데 소급신청 가능한가요?

    아니요. 청년기본소득은 소급 신청이 불가능하므로 정해진 신청 기간 내에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Q3. 기초생활수급자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기초생활수급자는 '수급자 증명서'를 첨부하면 일시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Q4. 주소지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 초본상의 주소가 경기도여야 하며, 성남시와 고양시는 2025년부터 제외됩니다.

     

    Q5. 지역화폐는 어디서 어떻게 받나요?

    카드형 지역화폐(기존 발급 카드로 충전) 또는 모바일 지역화폐(시흥·김포 등)를 통해 지급됩니다.



    마무리 요약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신청만 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청년복지 혜택입니다.
    특히 2001년생이라면 올해가 마지막 기회일 수 있으니 반드시 신청 일정을 챙기시고, 정해진 방법대로 신청하세요!



     

    반응형